국가공인 친환경인증인 환경표지인증 EL724 인증 기준이 개정되었습니다.
개정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한 파일(환경표지인증 EL724 인증기준 2024 개정)을 다운로드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핵심 개정 요약 (2023 → 2024)
1. 적용 대상 명확화 및 확대
1) 2023년: "통상적으로 회수가 곤란한 제품"만 포함
2) 2024년: “자연환경에서 회수 곤란한 제품” + “사용 중 오염으로 재활용이 곤란한 제품”까지 포함
→ 비닐 식탁보, 식품봉투 등도 대상 포함됨
2. 환경 기준 항목 세분화 및 강화
1) 생분해도 평가 조건 세분화 (4.4절): 사용 환경에 따라 생분해도 기준이 3가지로 분류됨
. 토양 환경용 (기존과 유사)
. 해양 환경용 (신설)
. 사용 중 오염되는 제품 (신설, 단 2028.12.31까지 한시 적용)
2) 식물 생태독성 (4.5절) : 기존엔 쌍떡잎 식물 1종 → 외떡잎 + 쌍떡잎 1종씩 시험으로 확대
3) 해양 생태독성 항목 신설 (4.6절): ISO 5430 기준의 발광박테리아 시험 도입
3. 품질 기준 세분화
1) 제품군별 품질 기준 신설 (5절)
1회용 식탁보, 생분해성 봉투, 어구(그물실, 통발 등) 항목별로 기준 마련
→ 예: 인장강도, 인열강도, 용량 허용오차, 부하 테스트 등 구체화
2) 봉투 품질 평가에 "정적/동적 부하 테스트" 도입
4. 검증 및 시험 방법 정비
시험방법 및 검증기준 체계화
. 8.3 생분해도 항목이 a/b/c로 분리됨 (사용환경별 대응)
. 8.5 해양 생태독성 시험법 신설 (ISO 5430)
. 제품군별(예: 봉투, 식탁보) 시험 항목 및 방법 구체화
5. 소비자 정보 제공 기준 보완
생분해 환경(분해 조건, 시간 등) 정보 제품 또는 포장에 표시 의무화
폐기 시 분리배출 주의사항 표기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