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이 사용되고 있는 건전지를
어떻게 버려야 하는지를 잘 알지 못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건전지 분리배출을 위한
전용 수거함이 어디에 설치되어 있는지도 잘 모르는 경우가 많아요.
다 사용한 건전지를 왜 분리배출해야 하는지,
건전지를 어떻게 분리배출하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폐건전지를 따로 버려야 하는 이유는?
폐건전지, 그냥 두면 위험해요

건전지는 망간, 수은, 카드뮴 등의 중금속 등의 유해 물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를 분리배출하지 않고 소각하게 되면 대기와 토양에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충전용 보조배터리 또는 전지류, 이를 포함한 완구류나 소형가전제품 등이 생활계 폐기물과 섞여 배출되면
선별과 재활용 과정에서 화재나 폭발사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건전지를 다 쓴 후에 일반 쓰레기로 버리거나
장난감, 전자기기 속에 건전지를 넣은 채로 버리면 안 됩니다.
<건전지의 종류>

폐건전지를 재활용하면 자원이 된다
낮은 폐건전지 재활용률한국전지재활용협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국내 전지류 재활용률이 20%대에 머물고 있으며, |
폐건전지 100% 재활용 가능폐건전지는 제대로 수거만 하면 100% 재활용이 가능한 자원입니다. |
가정에서 다 쓴 건전지 배출 이후 처리 과정
폐건전지, 보조배터리 분리배출 방법

대부분의 건전지는 전용 수거함에 버리세요.

대부분의 폐건전지는 전용 수거함에 별도로 배출을 해야 합니다.
대부분 폐형광등 수거함 밑에 폐건전지 전용 수거함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물론 별도로 폐건전지 전용 수거함만 마련되어 있는 경우도 있어요.
건전지를 넣는 제품은 반드시 건전지를 분리하세요.
플라스틱 제품 내부에 건전지를 넣어 작동하는 장난감, 소형 전자제품, 전동 공구 등은
생활폐기물이나 재활용으로 분리배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속에 들어 있는 건전지를 반드시 빼서 버려야 합니다.
생활폐기물과 혼합되어 배출될 경우에는 화재사고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에요.
건전지 일체형 제품은 제품을 수거함에 넣어주세요.

휴대폰, 보조배터리, 스마트워치, 전자담배와 같이 전지와 제품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분리배출을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되시죠?
이 경우에는 제품 그대로 폐건전지 전용 수거함에 배출합니다.
대형 제품은 별도 기관에 요청을 해주세요.

대형 제품은 별도 기관에 수거 요청을 해주세요.
전동 킥보드나 파워 뱅크와 같이 폐건전지 전용 수거함에 분리배출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한국 전지재활용협회((02-6954-0666~8)에 수거 요청을 하면 됩니다.
다 쓴 건전지로 종량제 봉투 받자!

노원구 ‘리사이클링 마켓’ 운영종이 팩과 폐건전지 등을 모아 가져가면 친환경 화장지, 새 건전지, 종량제 쓰레기봉투로 교환해 줍니다. 위치 상계5동 한신3차아파트 정문 앞 한신그린마트 옆(한글비석로48길 25) 문의 02-935-0511 |
중구 ‘재활용품 종량제봉투 교환 사업’10월부터 투명 페트병 20개, 종이 팩 1kg, 폐건전지 10개를 모아 |
광진구 ‘재활용품 직거래 DAY’재활용품을 모아 12월 24일까지 매주 목·금요일 동주민 센터를 방문하면 |
폐건전지, 분리배출부터 실천해요
주변에 전용 수거함이 어디에 있는지 먼저 확인해보세요.
건전지를 무단으로 버리는 것은 환경에도, 자원순환에도 좋지 않습니다.
작은 실천이 큰 변화를 만듭니다.
생활 속 환경 실천, 칼렛스토어와 함께 더 쉽게
재활용만큼 중요한 건, 처음부터 재활용 가능한 상품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포장재 고를 때에도 재활용 용이성을 한번 더 확인하고 선택하시면
고객도 포장재 분리배출 단계에서 브랜드의 긍정적 경험 +1 이 더해지지 않을까요?
친환경 실천을 내 일상과 브랜드에 자연스럽게 녹여보세요.
재생플라스틱을 50% 이상 원료로 사용한 PCR 봉투
테이프 없이 택배포장 가능한 무접착 박스
박스와 함께 버려도 100% 재활용되는 친환경인증 리펄프테이프

찾으시는 포장재가 없나요? 칼렛스토어가 포장재를 구해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