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분해성 플라스틱과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은 함께 '바이오플라스틱'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원료와 분해 특성 면에서 명확한 차이가 있습니다. 어떤 원료로 만들어졌는지, 자연에서 어떻게 처리되는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지 등 다양한 기준으로 나뉘며, 이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합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 (Biodegradable Plastic)
정의 | 미생물의 작용으로 물, 이산화탄소, 바이오매스로 완전히 분해되는 플라스틱 |
원료 | 식물 유래(PLA 등) 또는 화석연료 기반(PBS, PBAT 등) |
특징 | 산업적 퇴비화 조건에서 분해됨 물리적 강도나 내열성이 낮을 수 있음 분해 과정에서 메탄 등 온실가스가 발생할 수 있음 |
환경표지인증 | EL724 (생분해성 수지 제품) - 퇴비화 조건에서 90% 이상 분해되는 제품에 부여 - 분리배출 시 일반쓰레기로 분류 |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Biomass Plastic)
정의 | 식물 등 바이오매스에서 유래한 탄소를 20% 이상 함유한 플라스틱 |
원료 | 옥수수, 사탕수수 등 식물 유래 바이오매스 |
특징 | 기존 플라스틱과 유사한 물리적 특성 자연 분해되지 않음 재활용 가능 생산 및 폐기 시 탄소 배출 저감 효과 |
환경표지인증 | EL727 (바이오매스 합성수지 제품) - 바이오매스 유래 탄소 함량이 40% 이상인 제품에 부여 - 분리배출 시 재활용 쓰레기로 분류 |
칼렛스토어의 생분해성 플라스틱 포장재,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포장재
생분해성 플라스틱 포장재 종류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포장재 종류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에 대한 흔한 오해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모두 식물 원료로 만들어졌다? 생분해성 여부는 원료보다는 분해 성능에 따라 결정되며, |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은 자연에서 분해된다?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은 식물 유래 원료를 사용했더라도 자연에서 분해되지 않습니다. |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무조건 친환경일까? 생분해 플라스틱이 자연에서 사라진다고 해서 항상 친환경은 아닙니다. |
정리하며!
구분 | 생분해성 플라스틱 |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
원료 | 식물 또는 화석연료 기반 | 식물 기반 |
분해 여부 | 자연 분해됨 (조건 필요) | 자연 분해 안됨 |
재활용 | 어려움 | 가능 |
친환경 인증 | EL724 | EL727 |
칼렛스토어 상품 | 택배봉투, 배변봉투, 완충재 등 | 스텝포넷제로 봉투, 택배봉투, 속비닐 등 |
바이오플라스틱이 친환경이라는 단순한 등식은 더 이상 통하지 않습니다.
✔ 얼마나 탄소를 줄이는지
✔ 재활용은 가능한지
✔ 인증 기준을 충족했는지
이 모든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판단이 필요한 시대입니다.
칼렛스토어는 앞으로도 정확한 정보와 검증된 소재로,
지속가능한 포장을 고민하는 브랜드와 함께하겠습니다.

찾으시는 포장재가 없나요? 칼렛스토어가 포장재를 구해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