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_icon
추천 검색어
search_icon
최근 검색어
최근 검색내역이 없습니다.
실시간 검색어
추천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재구매장바구니
    메뉴
    재구매
    마이페이지

      지구 핫 뜨거! 글로벌 보일링

      글로벌 보일링은 지난해부터 화두였습니다.
      오랫동안 들어왔던 지구온난화 global warming에서 온난화화 단계를 지나 끓는 지구 global boiling가 되었지요.
      해를 거듭할수록 기후변화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데요,
      여름만 되면 최고 기온을 갱신할거란 소식에 익숙해져 안일했던 게 사실입니다.
      이번 여름도 예외없이 폭염과 폭우가 예측되는 가운데, 지구의 현재 상태와 개인이 할 수 있는 기후행동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글로벌 보일링이란
      글로벌 보일링(Global Boiling)은 지구 온난화가 더 심화되어 열파, 기후 관련 재해, 그리고 극단적인 날씨 패턴으로 전환된 상태입니다. 단순히 지구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넘어, 기후 변화로 인해 극단적인 환경 변화와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오늘의 날씨지도 (출처: Climatereanalyzer.org)

       

      오늘의 날씨지도 (출처: Climatereanalyzer.org)

      오늘 하루 평균 날씨를 지면 위 2미터의 공기 온도로 표시한 것입니다.

       

      | 지구의 현재 상태와 기후 난민
      공식적인 북반구 여름은 6월 20일에 시작되지만, 더위는 그보다 일찍 찾아오고 있습니다. 북미에서는 히트 돔 현상이 발생하며 시즌 후반에나 볼 수 있는 높은 온도가 나타나고 있고요. 인도 델리에서는 최근 섭씨 49.9도로 기온 기록이 갱신되었습니다. 이는 2년 전의 49.2도였던 기록을 넘는 것입니다. 심각하고 급격한 기후변화죠.
      기후 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고,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집과 고향을 떠나고 있습니다. UNHCR(유엔난민기구)에 따르면 2022년에는 새롭게 보고된 이주의 절반 이상이 기후 재해로 인한 것이며, 난민과 국내 이주민의 거의 60%가 기후 변화에 가장 취약한 국가에 살고 있다 합니다. 이대로 간다면 기후 변화로 인한 이주가 점점 많아질 것 같습니다.

      출처: unsplash

       

      | 기후 난민에 대한 몇 가지 오해와 팩트체크
      출처: UNHCR
      1. 기후 변화로 인해 남반구에서 북반구로 대규모 이동이 발생할 것이다?
      기후 변화로 인해 이주한 사람들은 자국 내 이동이 대부분입니다. 2022년 기후 관련 재해로 인해 3,260만 건의 국내 이주가 발생, 이 중 98%가 홍수, 폭풍, 산불, 가뭄과 같은 기후 관련 재해가 원인입니다. *기후변화는 극심한 폭염과 산불 발생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2. 기후 변화로 인해 이주한 사람들은 모두 기후 난민일까?
      "기후 난민"이라는 용어는 국제법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기후 변화나 재해로 인한 이주는 대부분 자국 내에서 발생하며, 1951년 난민 협약은 전쟁, 폭력, 박해를 피해 국경을 넘어 안전을 찾는 사람들만 보호합니다. 그러나 기후 변화로 인해 박해나 폭력의 위험이 증가하는 경우 1951년 협약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3. 기후 난민이 기후 재해로 인해 이주한 사람들만을 의미하는걸까?
      기후 변화는 더 빈번하고 극단적인 날씨 사건을 초래하여 홍수, 태풍, 가뭄 등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이주하게 만듭니다. 그러나 기후 변화는 빈곤, 생계 손실, 자원 감소와 같은 다른 요인의 영향을 증폭시켜 갈등과 이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르키나파소에서는 가장 가난하고 가뭄에 시달리는 지역에서 심각한 폭력과 이주가 발생했습니다.

      4. 너무 늦었을까?
      기후가 이미 변화하고 있으며, 평균 온도는 1800년대 후반보다 약 1.1°C 더 높아졌습니다. 그러나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 지구 온난화를 최소화하거나, 취약한 인구의 회복력을 높이고 사람들이 강제로 이주하는 위험을 줄이기 위한 적응 투자로 대응하는 것이 아직 늦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사람들이 극한 날씨에 더 잘 대비하고 변화하는 기후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또한, 기후 변화로 인해 악화되는 빈곤, 불평등, 폭력 등의 다른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난민과 국내 실향민은 기후 변화의 영향을 극복하고 적응하기 위해 나무 심기 프로젝트, 옹호 캠페인, 재난 대비 노력 및 산불 진압 등의 활동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올해 두바이에서 열리는 UN 기후 변화 회의(COP28)에서 그들은 이러한 활동을 수행하는 난민 주도의 조직에 대한 더 많은 지원과, 그들에 대한 결정이 그들 없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테이블에 자리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출처: unsplash

       

      | 우리가 할 수 있는 기후행동
      개인이 할 수 있는 기후행동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기후행동(Climate Action)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취하는 다양한 조치를 의미합니다.

      □ 에너지 효율이 높은 가전제품을 사용하고, 불필요한 전기 사용을 줄입니다.
      □ 자동차 대신 대중교통, 자전거, 도보 등 더 친환경적인 이동 수단을 선택합니다.
      □ 음식물 낭비를 줄이고, 지역에서 생산된 식품을 소비합니다.
      □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재사용 가능한 제품을 선택하며 재활용을 적극 실천하여 폐기물을 줄입니다.
      □ 친환경 제품을 구매하고 친환경 포장을 사용하는 브랜드의 제품을 구매합니다.
      □ 기후변화 정책을 지지하고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냅니다.

      이미 알지만 습관으로 만들지는 못한 행동이 있지 않나요.
      스스로가 얼만큼 행동하고 있나 체크해보고 지금보다 하나씩만 더 행동해보는 건 어떨까요?

       

      

      환경인증받은 친환경 포장재 다수 보유
      패키징 플랫폼 칼렛스토어

      

      기성품 둘러보기

      맞춤제작 포트폴리오 보기

      제작 사례, 포장재 리뷰 보기

      박스, 비닐부터 완충재, 보냉재까지
      모든 포장재를 한 곳에서!

      'ESG 환경뉴스'의 다른 글
      택배박스 종이테이프에 이 표시가 있나요?
      택배박스 종이테이프에 이 표시가 있나요?

      택배박스 분리배출 잘 하고 계신가요?종이테이프가 부착된 박스가 눈에 띄게 늘었는데요,박스랑 같이 종이로 배출해도 되는지, 떼어내야 하는지는이 마크가 있는지만 확인하면 간단합니다.​분리배출표시마크(종이) ​어떻게 버려야할지 가장 헷갈리는 포장재종이테이프 확실하게 정리해드...

      2024-06-05
      일회용 수송(택배)포장 방법 기준 가이드라인

      환경부가 택배 포장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습니다.제품의 포장재질·포장방법에 관한 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 따른 일회용 수송포장 방법 기준이 2024.04.30.부터 시행되며 2년간 계도기간을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일회용 수송(택배)포장 방법 기준 가이드라인포장폐기물 감량...

      2024-04-30
      EU 에코디자인 요구사항 발효! EU 수출기업 필독
      EU 에코디자인 요구사항 발효! EU 수출기업 필독

      EU 에코디자인 요구사항이 지난 7월 18일 발효되었습니다. EU는 2020년 자원 순환 활용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신순환경제실행계획을 도입했고이는 2050 Net-Zero(탄소중립) 달성을 목표하는 유럽 그린딜의 일환입니다. 그린딜 알아보기 순환경제란?원...

      2024-07-25
      [스타트업-ing] 원하는 포장재 100장부터 제작, 칼렛스토어 ‘소량 인쇄 서비스’
      [스타트업-ing] 원하는 포장재 100장부터 제작, 칼렛스토어 ‘소량 인쇄 서비스’

      [IT동아 측 허락 하에 본 기사를 게재합니다.]온라인 전자상거래 사업자가 증가하면서 포장재에 대한 수요도 늘고 있다. 이들 사업자는 여러 종류, 소량의 포장재를 원한다. 하지만 포장재 생산 공장은 생산 라인 가동 효율성을 이유로 최소 수량을 1000장 이상으로 제한한...

      2024-07-19
      디지털 제품 여권(Digital Product Passport, DPP)
      디지털 제품 여권(Digital Product Passport, DPP)

      EU의 순환경제 주요 정책 중 하나인 에코디자인 규정이 지난달인 24년 7월 발효되어EU 역내 출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지속가능성 요건 및 정보공개 의무가 강화되었습니다.​에코디자인이라는 이름에서 추측할 수 있듯, 환경적 지속가능성과 관련돼 있으며더욱 강화하는 의미...

      2024-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