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_icon
추천 검색어
search_icon
최근 검색어
최근 검색내역이 없습니다.
실시간 검색어
추천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재구매장바구니
    메뉴
    재구매
    마이페이지

      서울시 일회용 플라스틱 감축 종합대책 알아보기!

       

      서울시는 9.7.(목) 「일회용 플라스틱 감축 종합대책」을 내놓았습니다.

      ‘플라스틱 감축 선순환 체계’를 구축해 생산․유통․소비, 전 단계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을 줄이고

      발생한 플라스틱은 ‘최대한 자원화’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일일 플라스틱 발생량은 현재 2,753톤에서 ’26년까지 10%(275톤) 감축한 2,478톤까지 줄이고

      재활용률은 현재 69%에서 79%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입니다.

      일회용 플라스틱 감축 종합대책 자세히 알아볼까요?

       

      추진 배경

      □ 서울 시내 일일 폐플라스틱 발생량은 ’14년 896톤에서 ’21년 2,753톤으로 7년여 만에 200% 이상 증가, 이러한 추세라면 향후 3년 이내(~’26년) 40%까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돼 감량이 하루라도 시급한 상황입니다.

      플라스틱 폐기물이 범지구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최근 국제연합(UN), 유럽연합(EU), 영국, 독일 등 세계 주요 기구와 국가에서도 ‘플라스틱 감축’을 위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추진 전략

      □ 이번 「일회용 플라스틱 감축 종합대책」은 3대 추진전략과 22개 세부과제으로 이뤄졌습니다. 자원순환은 무엇보다 ‘시민 참여’가 담보되어야 하는 만큼 시민 공감대를 형성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데도 집중합니다.

      □ 시는 이번 종합대책을 통해 온실가스 약 14만 톤 감축, 2,200 개 일자리를 창출해 낸다는 계획입니다.

      출처:서울시

      일회용 플라스틱 없는 건강한 일상 조성

      먼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일회용품 중에서도 감축효과를 가장 크게 볼 수 있는 ▴일회용컵 ▴음식 배달용기 ▴상품 포장재, 세 가지 품목을 중점적으로 줄여 나갈 예정입니다.

      ’25년부터 ‘일회용컵 보증금제’를 도입

      □ 커피전문점 등에서 일회용컵 사용 시 보증금 300원이 부과됩니다. 서울시는 세종‧제주에서 시행 중인 보증금제 운영사례를 참고하고, 환경부와 협력해 제도 적용 대상 및 반납 편의성 등을 개선한 후 시행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개인 컵에 음료를 주문하면 시가 300원을 할인해주는 ‘개인 컵 추가할인제’도 시행

      □ 영화관․경기장 등 다중이용시설에서도 다회용컵을 이용토록 하고 하루 폐기물 300kg 이상 배출하는 대형건물 내 카페는 다회용컵을 도입하도록 적극 권장, 이를 통해 ’26년까지 일회용컵 1억 개 사용을 줄인다는 목표입니다.

      앱으로 음식 주문 시 다회용 그릇에 담아주는 ‘제로식당’ 서비스는 ’26년 서울 전역으로 확대

      □ 주요 배달플랫폼(배달의민족․요기요․땡겨요)과 협약을 맺고, 세제․음식 등을 다회용기에 담아주어 일회용 포장재를 줄이는데 앞장서는 ‘제로마켓’도 ’26년까지 1천 개로 늘립니다.

      다회용컵과 용기를 사용하는 ‘제로 플라스틱’ 거점

      □ 그동안 일회용품을 대량으로 사용해 왔던 장례식장, 행사․축제, 체육시설 등 및 앞으로 공공 기관이 주최하는 모든 행사․축제의 푸드트럭(먹거리트럭)은 다회용기 사용이 의무화됩니다.

      한강공원은 ‘일회용 배달용기 반입 금지구역(제로 플라스틱존)’

      □ 올해 잠수교 일대를 시작으로 ’24년 뚝섬․반포, ’25년 한강공원 전역으로 확대됩니다.

       

      재활용품 분리배출 인프라 확충

      주거지 가까운 곳에 ‘분리배출 인프라’ 대폭 확충

      재활용 분리배출 거점을 현재 1만3천 개소→ ’26년 2만 개소까지

      동네 ‘자원관리사’를 지정해 재활용품 배출을 돕고 골목길 경관도 개선할 방침입니다.

      분리배출함, 스마트회수기, 자원회수 스테이션 등을 설치

      □ 버스정류장, 대학가․원룸촌 등 일회용컵을 비롯한 재활용 쓰레기가 무분별하게 뒤섞여 배출되는 사각지대를 발굴해 ‘분리배출률’을 높입니다.

      신기술을 도입해 재활용 선별시설을 현대화․자동화

      □ 내년 중으로 하루 최대 230톤의 폐기물을 추가 처리할 수 있도록 은평․강남․강동 선별시설 처리용량을 늘리고, ’26년까지 현재 도봉구에서만 운영되고 있는 인공지능(AI) 선별 로봇을 모든 공공 선별시설에 확대 도입합니다.

      물품 재사용 문화 확산을 위한 벼룩시장을 연간 40회로 확대

      □ 마지막으로 일회용품․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한 모든 제도와 정책은 ‘시민 참여’를 밑바탕으로 실현되므로 시는 기업․대학․종교계․시민단체 등과 함께 자발적인 참여를 지속 유도해 나갈 계획입니다.

      지역 자원순환 산업을 육성하고, 관련 기업에 융자 등 지원도 확대​

      □ 올해 공공 분야 최초로 재생원료를 30% 사용한 병물아리수 10만 병을 공급한 데 이어 내년부터는 재생원료를 100% 사용할 계획이며 수도계량기 보호통, 보도블럭 등 공공시설물에도 비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제품을 사용합니다.

       

      플라스틱 자원화․선순환 체계구축

      ‘투명페트병․폐비닐 분리배출 요일제’를 확대

      재활용품을 종량제봉투 등으로 교환해주는 ‘재활용품 수거 유가보상’도 지원합니다.

      '건축물 자원순환 설계 가이드라인’을 개발

      □ 아울러 서울시는 신규 건축물 설계 또는 모아타운 등 소규모 주택정비사업 추진 시 ‘재활용품 분리배출 공간’을 필히 확보토록 하는 가이드라인 개발하여, 건축 및 정비사업 분야에 배포할 계획입니다.

      폐기물이 고부가가치의 자원이 되는 선순환 구조를 확립

      □ 서울에서 나오는 종량제봉투 속 쓰레기의 25.3%가 플라스틱과 비닐류로 하루 800톤씩 소각, 매립되고 있습니다. 시는 폐비닐, 봉제원단 등 별도 수거체계를 구축하여 하루 335톤을 재활용할 계획입니다.

      폐비닐을 연료유 또는 재생원료로 생산해내는 ‘도시원유사업’를 본격적으로 추진

      □ 서울시는 올해 4월, 국내 4개 정유화학사(GS칼텍스․HD현대오일뱅크․LG화학․SK지오센트릭)와 업무협약을 맺고 ’26년까지 연간 8만6천 톤의 폐비닐을 열분해 원료로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봉제원단 폐기물’도 고형연료, 섬유원사 등으로 자원화

      □ 하루 폐기되는 자투리 원단만 127톤, 이 중 60%가 소각․매립됩니다. 시는 ’26년까지 자치구․SR센터․기업을 연계, 100톤/일 가량의 원단을 섬유패널, 건축자재 등 재활용 자원으로 제공하는 체계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칼렛스토어에서 환경인증을 받은 

      친환경 제품을 선택하세요!

       

      EL103 리펄프테이프 보러가기

       

       

      EL727 바이오매스 택배봉투 보러가기

       

       

      EL606 친환경 택배봉투 보러가기

       

      제휴문의 : caretstore@caretbio.com

      TEL : 02-6964-6930

      

      
      스마트한 ESG 파트너 칼렛스토어
      지속가능한 포장재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소재와 포장재'의 다른 글
      생분해 플라스틱 PLA 자세히 알아보기!
      생분해 플라스틱 PLA 자세히 알아보기!

      생분해 소재, 정확히 뭔가요?“생분해면 그냥 땅에 묻으면 없어지는 거 아냐?”  아쉽지만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생분해’는 그 자체로 완벽한 친환경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소재에 따라 분해 조건이 다르고, 어떤 것은 분해되기까지 6개월 이상 걸리기도 합니다.  요...

      2023-09-07
      과대포장과 친환경 포장, 뭐가 다를까?
      과대포장과 친환경 포장, 뭐가 다를까?

      추석이 가까워지면서 이번엔 어떤 선물을 할까많이 고민을 하게 되는데요.선물세트의 과대포장이 매년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과대포장의 문제점과친환경포장은 어떻게 할 수 있을지 알아보도록해요 :) ​과대포장과 과잉포장이란?과대포장과 과잉포장의 차이를 아시나요?대체로 두 단어는...

      2023-09-04
      친환경 택배봉투도 튼튼할까? 택배봉투 내구성 실험
      친환경 택배봉투도 튼튼할까? 택배봉투 내구성 실험

      ​ 플라스틱이 환경 잔류, 미세화 등으로 가장 큰 환경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어요.특히 우리나라는 플라스틱 수요, 폐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팬데믹 이후 포장재, 용기 등의 폐기물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스텝포넷제로 EL606 택배봉투는 환경표지인증을 받은...

      2023-09-14
      리펄프테이프 자세히 알아보기
      리펄프테이프 자세히 알아보기

      탄소중립을 위한 발걸음! 포장재 탄소저감 캠페인 및 브랜드인 스텝포넷제로에서 100% 재활용가능한 친환경인증 리펄프테이프를 출시했습니다.폐지 재활용 공정 중 해리 단계에서 해리되어 종이만 남기 때문에 재활용을 방해하지 않으며다시 종이로(Repulping) 재활용되는 자...

      2023-09-14
      리펄프테이프, 공인시험기관 테스트 결과
      리펄프테이프, 공인시험기관 테스트 결과

      스텝포넷제로 리펄프테이프를 공인시험기관(KCL)에 의뢰,인장강도, 점착력, 유지력 테스트를 마쳤어요.리펄프테이프 시험성적서를 공유합니다! N(Newton, 뉴턴): 힘 또는 무게의 단위.물체 1kg을 드는 데 필요한 힘은 약 9.8N이다.*역으로 1N은 약 102g의...

      2023-09-18

      연관 상품

      SFNZ_badge
      무지 리펄프테이프 48mm x 40M (60g) 1BOX 50EA
      24% 210,000원
      159,000
      개당 3,180
      1,590P 적립
      320
      SFNZ_badge
      리펄프테이프 48mm x 40M (60g) 3개
      16% 12,600원
      10,500
      개당 3,500
      105P 적립
      1604
      SFNZ_badge
      친환경 택배봉투 38 x 47 + 4cm [대] 100장
      8% 26,800원
      24,600
      개당 246
      246P 적립
      1536
      SFNZ_badge
      취급주의 리펄프테이프 48mm x 40M (60g) 1BOX 50EA
      24% 210,000원
      159,000
      개당 3,180
      1,590P 적립
      321
      SFNZ_badge
      친환경 택배봉투 38 x 47 + 4cm [대] 500장
      15% 134,000원
      113,300
      개당 226
      1,133P 적립
      3336
      SFNZ_badge
      스텝포넷제로 EL606 택배봉투 70X83+4cm [특대3호] 200장
      32% 147,600원
      100,300
      개당 501
      1,003P 적립
      301
      SFNZ_badge
      친환경 택배봉투 45 x 58 + 4cm [특대] 100장
      8% 37,500원
      34,400
      개당 344
      344P 적립
      1834
      SFNZ_badge
      리펄프테이프 48mm x 40M (60g) 12개
      19% 50,400원
      40,500
      개당 3,375
      405P 적립
      299
      SFNZ_badge
      친환경 택배봉투 블랙 38 x 47 + 4cm [대] 100장
      42% 26,800원
      15,400
      개당 154
      154P 적립
      1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