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이 가까워지면서 이번엔 어떤 선물을 할까
많이 고민을 하게 되는데요.
선물세트의 과대포장이 매년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과대포장의 문제점과
친환경포장은 어떻게 할 수 있을지 알아보도록해요 :)
과대포장과 과잉포장이란?

과대포장과 과잉포장의 차이를 아시나요?
대체로 두 단어는 혼용되어서 쓰이고 있습니다.
'과대 포장'이란 부피를 늘리기 위하여 내용물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재료를 써서 물건을 싸서 꾸리는 일
출처: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과잉 포장’이란 상품에 대해 적정한 수준을 넘어서 지나치게 많은 재료와 비용을 들인 포장
출처: 두산백과
단지 제품을 더 근사하게 보이게 하려는 목적으로
필요 이상의 포장들을 더하는 것은 불필요한 쓰레기를 생산해 환경을 오염시키게 됩니다.
과대포장의 문제점은?
[ 환경에 악영향 ]
대량 폐기물이 생산되어서 환경에 나쁜 영향을 줍니다.
포장재들은 대부분 자연분해 되는데 엄청난 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스티로폼, 플라스틱, 알루미늄은 완전히 자연분해 되는데 500년 이상이 걸린다는 사실!
[ 재료 비용 증가 ]
과대 포장이 문제 되는 이유는 재료 소비로 인해 비용이 증가한다는 점입니다.
재료를 많이 사용한다는 것은 판매자 입장에서 비용이 더 발생됩니다.
[ 운송 비용 증가 ]
유통 과정에서 불필요한 부피 증가 때문에 운송 비용도 낭비가 됩니다.
과대 포장 관련 규정 알아보기
과대 포장에 관련된 현실적인 문제들이 많이 대두되면서 국내외에서 관련 법률들도
그에 따라 재・개정 후 시행되고 있습니다.
제품의 포장재질・포장방법에 관한 기준 등에 관한 규칙 |
`22년 4월 개정
환경부는 2022년에 ‘제품의 종류별 포장방법에 관한
기준(제4조2항 관련)’법안을 신설했습니다.
이 법안은 기업들의 준비 기간을 고려하여 2024년부터 시행됩니다.

농산물 포장 가이드 라인 |
`23년 8월 재정
환경부는 농산물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 친환경적인 포장을 권장하기 위해 농산물 포장 지침서(가이드라인)를 마련해 공개했습니다. 친환경적인 농산물 포장을 할 수 있도록 포장재의 재질, 재료 등의 사용을 최소화는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 과일, 채소 등 농산물이 가공, 조미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은 경우 1차 식품으로 분류하고
「제품의 종류별 포장방법에 관한 기준 등에 관한 규칙」(일명 제품 포장규칙)에서 규정하는 과대포장 규제
(포장공간비율, 포장횟수) 대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다만, 과일 선물세트는 종합제품으로 분류되어 포장공간비율 25% 이내, 포장 횟수 2차 이내를 준수해야 합니다.
[ 가이드라인 ]

적정포장이란?

‘적정포장’이란 최소 비용으로 상품을 튼튼하게 포장하는 것
출처: 우리말샘
적정포장은 상품에 관한 최소한의 정보나 필요한 수준의 디자인을 적절히 추가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칼렛스토어의 친환경 농산물 포장

지구와 농부를 위한
친환경 농산물 박스
위에서 덮는 형태로 제작된
폴더박스 무접착식 농산물용입니다.
[ 펄프 종이 난좌 ]

플라스틱/스티로폼 난좌를
완벽하게 대체하는 펄프 종이난좌를 사용합니다.
종이난좌는 물과 종이로 제작하여 종이로 분리배출 가능합니다.
[ 종이 완충 패드 ]

상품을 더욱 더 안전하게 지켜주는 완충 패드입니다.
[ FSC 인증 마크와 스텝포넷제로 마크 인증 ]

FSC 인증과 스텝포넷제로 인증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포장재를 만들어봐요.
[ 왜 칼렛스토어 완충재여야 할까요? ]

분리배출이 쉽습니다
* 포도/수박/멜론/계란 완충재는 공기를 뺀 후 비닐로 분리배출
적재 효율 탁월합니다
* 비닐에 공기를 주입해 사용하므로 공기 주입 전에는 부피가 작아 적재 공간을 적게 차지
노테이프로 포장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 효율이 높습니다
완충 효과가 좋고, 농산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사이즈의 다양한 농산물에 적용 가능합니다
제휴문의 : caretstore@caretbio.com
TEL : 02-6964-6930
스마트한 ESG 파트너 칼렛스토어
지속가능한 포장재 솔루션을 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