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_icon
추천 검색어
search_icon
최근 검색어
최근 검색내역이 없습니다.
실시간 검색어
추천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재구매장바구니
    메뉴
    재구매
    마이페이지

      친환경 농산물 포장 가이드라인

      추석을 앞두고 유통 업계에서 선물 세트를 많이 내놓는데요,

      그 중에서 농산물 포장의 과대포장이 매년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환경부는 농산물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 친환경적인 포장을

      권장하기 위해 농산물 포장 지침서(가이드라인)를 마련해 공개했습니다.

      포장 화려하다고 좋은 과일 아닙니다!

      친환경적인 농산물 포장을 할 수 있도록

      포장재의 재질, 재료 등의 사용을 최소화는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자세히 알아볼까요?

       

      과일용 골판지 상자의 표준규격

      농산물 표준규격에 따라 표 1과 같이 제품 포장 중량에 맞는 골판지 상자의 재료를 사용하고, 표 2의 KS T 1034(외부포장용 골판지)의 품질을 과도하게 초과하여 자원이 낭비되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 표 1, 농산물 표준규격의 골판지상자 재질 ]

      [ 표 2, 골판지상자의 품질 기준 ]

       

      포장공간비율 및 포장 횟수

      ◦ 과일, 채소 등 농산물이 가공, 조미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은 경우 1차 식품으로 분류하고 「제품의 종류별 포장방법에 관한 기준 등에 관한 규칙」(일명 제품 포장규칙)에서 규정하는 과대포장 규제(포장공간비율, 포장횟수) 대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다만, 과일 선물세트는 종합제품으로 분류되어 포장공간비율 25% 이내, 포장 횟수 2차 이내를 준수해야 합니다.

      ◦ 농산물 품질 유지를 위해 상자에 포장 시 빈 공간을 많이 두는 경우가 있으나, 빈 공간이 많아지면 포장재 사용량이 많아지므로 적정한 간격을 두어 포장폐기물 발생을 줄이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 제품의 종류별 포장방법에 관한 기준 등에 관한 규칙 ]

       

      포장디자인

      ◦ 과대포장이 되지 않도록 단순한 디자인과 포장을 사용합니다.

      ◦ 가능하면 필름 첩합(라미네이팅) 및 복합재질 재료 사용을 지양하고 재활용이 용이한 단일재질로 포장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 상자의 인쇄지는 골판지 원지에 직접 인쇄(Flexo, 플렉소) 할 수 있도록 하고 디자인을 위해 SC마닐라지(Super calendered manila paper)와 같은 인쇄지에 인쇄하여 골판지에 추가적으로 부착하지 않도록 합니다.

      ◦ 소비자 판매용 포장 및 유통, 택배 등 수송포장은 각각의 단위별 포장재에 대한 인쇄 도수(사용되는 색의 수)를 최소화합니다.

       

      3R 포장설계(감량, 재사용, 재활용)를 고려한 포장설계

      기본적으로 3R을 고려하여 설계하고 최우선적으로 포장재 사용량을 감량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습니다.

       

      감량(Reduce) 설계

      ◦ 받침접시 및 고정·완충재를 제품에 중복 사용하지 않으며, 사용 시 자원 절약을 위해 가급적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운 것을 사용합니다.

      포장재의 재질은 종류를 최소화(단일화) 하고 농산물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합니다.

      ◦ 특히, 골판지 상자는 수송·유통과정 중에서 문제가 없는 적정 수준(최소 강도)의 상자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 POP(Point of purchase) 라벨·스티커는 종이인 경우 가정에서 분리배출이 가능하나, 플라스틱 재질 스티커는 분리배출하기에 부적당한 작은 크기이므로 가급적 종이로 사용하거나 레이저 각인을 하는 등 재활용이 안되는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합니다.

      ◦ 가능하면 포장재의 포장 횟수를 최소화 하거나 포장하지 않고 낱개 판매 하여 포장폐기물 발생량을 최소화 하여야 합니다.

       

      재사용(Reuse) 설계

      ◦ 포장재의 기본적인 방향은 재사용을 추구하도록 합니다.

      ◦ 단위제품 수송 및 판매 시 다회용기 사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며 재사용을 위한 시스템을 확립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 다회용기는 세척이 용이한 재질 및 구조로 설계하고 제품이 다회용기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이물질을 사전에 제거하여야 합니다.

       

      재활용(Recycle) 설계

      ◦ 포장재는 사용 재질별로 재활용이 용이한 포장 재질로 설계합니다.

       

      농산물 포장 폐기물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방안

       

      *이 내용은 ‘23년 8월 환경부가 발표한 ’농산물 포장 가이드라인'에서 주요 내용을 발췌, 인용했습니다.

       

      칼렛스토어의 친환경 농산물 포장 

      지구와 농부를 위한

      친환경 농산물 박스

      위에서 덮는 형태로 제작된

      폴더박스 무접착식 농산물용입니다.

      [ 펄프 종이 난좌 ]

      플라스틱/스티로폼 난좌를

      완벽하게 대체하는 펄프 종이난좌를 사용합니다.

      종이난좌는 물과 종이로 제작하여 종이로 분리배출 가능합니다.

      펄프 종이난좌 바로가기

       

      [ 종이 완충 패드 ]

      상품을 더욱 더 안전하게 지켜주는 완충 패드입니다.

      [ FSC 인증 마크와 스텝포넷제로 마크 인증 ]

      FSC 인증과 스텝포넷제로 인증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포장재를 만들어봐요.

      [ 왜 칼렛스토어 완충재여야 할까요? ]

      분리배출이 쉽습니다 

      * 포도/수박/멜론/계란 완충재는 공기를 뺀 후 비닐로 분리배출

      적재 효율 탁월합니다

      * 비닐에 공기를 주입해 사용하므로 공기 주입 전에는 부피가 작아 적재 공간을 적게 차지

      노테이프로 포장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 효율이 높습니다

      완충 효과가 좋고, 농산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사이즈의 다양한 농산물에 적용 가능합니다

      농산물 포장 보러가기

       

      제휴문의 : caretstore@caretbio.com

      TEL : 02-6964-6930

      

      
      스마트한 ESG 파트너 칼렛스토어
      지속가능한 포장재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소재와 포장재'의 다른 글
      탈플라스틱 대책: 생분해 제품에의 영향
      탈플라스틱 대책: 생분해 제품에의 영향

      플라스틱이 환경 잔류, 미세化 등으로 가장 큰 환경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었습니다.이에 정부는 22년 10월 전 주기 탈플라스틱 대책을 발표했어요,이전 포스팅에서 4가지 추진 과제를 알려드렸는데요.4가지 추진 과제 중재생원료 및 대체재 육성은 [생분해 활성화 지원]에 대...

      2023-08-28
      탈플라스틱 대책: 친환경 인증 제품에의 영향
      탈플라스틱 대책: 친환경 인증 제품에의 영향

       플라스틱이 환경 잔류, 미세化 등으로 가장 큰 환경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었습니다.이에 정부는 22년 10월 전 주기 탈플라스틱 대책을 발표했는데요,​이전 포스팅에서 4가지 추진 과제를 알려드렸는데요.4가지 추진 과제 중에서온전한 재활용과 재생원료 및 대체재 육성을제시...

      2023-08-24
      과대포장과 친환경 포장, 뭐가 다를까?
      과대포장과 친환경 포장, 뭐가 다를까?

      추석이 가까워지면서 이번엔 어떤 선물을 할까많이 고민을 하게 되는데요.선물세트의 과대포장이 매년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과대포장의 문제점과친환경포장은 어떻게 할 수 있을지 알아보도록해요 :) ​과대포장과 과잉포장이란?과대포장과 과잉포장의 차이를 아시나요?대체로 두 단어는...

      2023-09-04
      생분해 플라스틱 PLA 자세히 알아보기!
      생분해 플라스틱 PLA 자세히 알아보기!

      생분해 소재, 정확히 뭔가요?“생분해면 그냥 땅에 묻으면 없어지는 거 아냐?”  아쉽지만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생분해’는 그 자체로 완벽한 친환경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소재에 따라 분해 조건이 다르고, 어떤 것은 분해되기까지 6개월 이상 걸리기도 합니다.  요...

      2023-09-07
      서울시 일회용 플라스틱 감축 종합대책 알아보기!
      서울시 일회용 플라스틱 감축 종합대책 알아보기!

       서울시는 9.7.(목) 「일회용 플라스틱 감축 종합대책」을 내놓았습니다.‘플라스틱 감축 선순환 체계’를 구축해 생산․유통․소비, 전 단계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을 줄이고발생한 플라스틱은 ‘최대한 자원화’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일일 플라스틱 발생량은 현재 2,753톤에...

      2023-09-11

      연관 상품

      종이난좌 1호 13과 1000장
      480,000
      개당 480
      4,800P 적립
      1278
      종이난좌 2호 15과 500장
      240,000
      개당 480
      2,400P 적립
      262
      종이난좌 1호 16과 1000장
      480,000
      개당 480
      4,800P 적립
      1931
      종이난좌 1호 10과 500장
      240,000
      개당 480
      2,400P 적립
      169
      종이난좌 2호 21과 1000장
      480,000
      개당 480
      4,800P 적립
      1912
      계란 완충재 셀타입 30구 50장
      36,000
      개당 720
      360P 적립
      265
      종이난좌 2호 13과 1000장
      480,000
      개당 480
      4,800P 적립
      1151
      종이난좌 2호 10과 500장
      240,000
      개당 480
      2,400P 적립
      271
      종이난좌 2호 19과 1000장
      480,000
      개당 480
      4,800P 적립
      1622
      종이난좌 1호 9과 500장
      240,000
      개당 480
      2,400P 적립
      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