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리배출 vs 분리수거, 뭐가 다를까요?
용어 | 뜻 | 주체 | 예시 |
분리배출 | 쓰레기를 가정에서 분류하여 내놓는 행위 | 소비자 | 페트병은 라벨 제거 후 압착해서 배출 |
분리수거 | 배출된 쓰레기를 수거·운반·재활용하기 위해 선별하는 과정 | 지자체, 수거업체 | 혼합 쓰레기에서 유리·캔·플라스틱 등 재질별로 구분하여 수거 |
분리배출은 우리가 해야 할 일,
분리수거는 수거업체가 처리하는 일입니다.
올바르게 분리배출해야 수거 단계에서 정확한 재활용이 가능해지고,
자원 순환율도 높아집니다.
분리배출 기본 3원칙
1. 비운다 – 내용물 없이 깨끗하게 |
2. 헹군다 – 물로 한 번 헹궈 이물질 제거 |
3. 분리한다 – 서로 다른 재질은 반드시 분리 |
주요 품목별 분리배출 방법
품목 | 분리배출 방법 |
플라스틱 | 페트병은 라벨 제거 → 내용물 비우고 헹구기 → 압착해서 뚜껑 닫기 샴푸통, 세제통 등도 물로 헹군 후 배출 이물질이 묻어 있으면 일반 쓰레기로 전환 |
캔/고철 | 음료캔, 통조림캔은 물로 헹구고 이물 제거 스프레이캔은 가스를 완전히 배출 후 배출 (※ 구멍 뚫지 말고, 지정된 배출 장소에 내놓기) |
유리병 | 내용물 제거 후 헹군 뒤 배출 병뚜껑(플라스틱, 금속)은 따로 분리 깨진 유리는 종량제봉투에 담아 일반 쓰레기로 |
종이류 | 박스, 신문, 전단지는 테이프, 스테이플러 제거 후 납작하게 접기 코팅된 종이(일부 전단지, 아이스크림컵 등)는 일반 쓰레기 영수증(감열지)은 재활용 안됨 → 일반 쓰레기 |
종이팩 (우유팩, 주스팩 등) | 내용물 비우고 헹군 뒤 말려서 팩 전용 수거함에 배출 *지자체별 확인 필요 일반 종이류에 섞이면 재활용이 불가능해짐 |
비닐 | 깨끗한 포장 비닐만 재활용 가능 음식물, 기름 묻은 비닐은 일반 쓰레기 |
자주 하는 실수 분리수거는 열심히 하지만, 분리배출이 잘못되면 의미 없음 |
분리배출 = 소비자 책임 분리수거 = 시스템 처리 올바른 분리배출은 재활용률을 높이고 폐기물 처리 비용을 줄입니다. |

그린워싱 포장재, 어떻게 구분하나요? 환경표지인증 등 관련 인증 획득 여부를 상세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칼렛스토어 상품에 대해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채널톡으로 문의해주세요. |
칼렛스토어는 올바른 포장재 사용뿐 아니라,
사용 이후까지 책임지는 지속가능한 소비 문화를 지지합니다.
생활 속 작은 실천, 지금부터 함께 시작해보세요.
스텝포넷제로 탄소저감 포장재 둘러보기

찾으시는 포장재가 없나요? 칼렛스토어가 포장재를 구해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