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도 일회용품 줄이기에 잘 참여하고 계시나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경우가 많아 재활용이 어렵습니다.
배달 용기나 플라스틱 사용의 증가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환경부는 11월 24일부터 편의점, 식당, 카페 등에 대한 일회용품 사용을 제한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11월 7일 환경부에서 국민의 자발적 참여로 선회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일회용품 사용 규제(과태료 등)를 철회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일회용품 관리정책을 '과태료 부과'에서 '자발적 참여에 기반한 지원'으로 전환한다 합니다.
환경부가 발표한 내용 자세히 알아볼까요?
* (주요내용) [식품접객업]종이컵·플라스틱 빨대 사용금지,
[종합소매업]비닐봉투 사용금지 등
비닐봉투 대신 장바구니, 종량제봉투 등 대체품 사용 문화를 정착시킨다.

비닐봉투는 장바구니, 생분해성 봉투, 종량제 봉투 등 대체품 사용이 안착되고 있습니다.
한국편의점산업협회에 따르면, 편의점 5개사*가 2023년 상반기 중 사용한 봉투는
생분해성 봉투가 70%이며, 종량제 봉투 23.5%, 종이봉투 6.1%로 집계됐습니다.
* BGF리테일(CU), GS25, 세븐일레븐, 이마트24, 씨스페이스24
현장의 긍정적 변화를 고려하여,
비닐봉투는 단속을 통한 과태료 부과보다는
대체품 사용을 생활문화로 정착시키는 데 주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플라스틱 빨대의 계도기간을 연장하고, 대체품 시장의 성장을 유도한다.

현장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플라스틱 빨대의 계도기간*을 연장합니다.
아울러, 계도기간 동안 종이 빨대 등 대체품 품질이 개선되고,
가격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생산업계와 논의해 나갈 계획입니다.
일부 사업자는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가격이 비싼 종이 빨대를 구비했으나,
고객의 불만을 들어야 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는 상황입니다.
* 계도 종료 시점은 유엔 플라스틱 협약 등 국제 동향,
대체품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추후 결정
종이컵은 규제가 아닌 권고와 지원을 통해 줄여나간다.

현장 적용이 어려운 점, 해외의 많은 국가들은
일회용 플라스틱 컵 중심으로 관리하는 점 등을 고려하여
일회용품 사용 제한 대상 품목에서 종이컵을 제외하기로 했습니다.
[ 배경 ]
다회용컵 세척을 위한 비용 증가
종이컵 사용이 금지되면서 음식점, 커피전문점 등 매장에서는
다회용컵 세척을 위해 인력을 고용하거나 세척시설을 설치해야 하는 부담이라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 대안 ]
다회용컵 사용 지원 및 분리배출 시스템 마련 예정
종이컵 대신 다회용컵을 사용하도록 지속적으로 권장하고 지원해 나갑니다.
일회용품 줄이기에 동참하고자 하는 매장에는 다회용컵, 식기세척기 등
다회용품 사용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고,
우수 참여 매장은 소상공인 지원사업 선정·지원 시 우대조건을
부여할 수 있도록 중소벤처기업부 등 관계부처와 협업해 나갈 계획입니다.
매장에서 사용된 종이컵은 별도로 모아
분리 배출하는 등 보다 정교한 시스템을 마련하여
재활용률을 높이는 노력을 배가할 계획입니다.
[ 총 정리 ]

규제 완화 반응, '다행 vs 혼란'
환경부가 플라스틱 빨대 규제 계도기간을 연장하고
종이컵 사용을 제한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과 관련해 엇갈린 반응이 나옵니다.
시민사회에서는 '일회용품 규제 포기'라는 강력한 비판이 쏟아지지만,
소상공인들은 '숨통이 트였다'라는 반응입니다.
다만 계도기간 중에도 규제에 동참하던 사업자는
오히려 손해를 보게 됐다는 불만도 제기되었습니다.
향후 대책이 실효성을 가질 수 있을지 의문이 남는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환경부는 결국 플라스틱 빨대 경우 계도기간을 연장했고,
종이컵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하면서도 향후 소비 축소를 위한 대책은 내놓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칼렛스토어와 스텝포넷제로는 지속가능한 포장을 위한
3R 가이드(Reduce, Reuse, Recycle)를 제시하여 기업의 지속가능성 문제를 해결해드립니다.
환경표지인증 소재를 사용한 제품 또는 환경표지인증 제품을 채택하여 환경 영향을 줄여주세요.
제휴문의 : caretstore@caretbio.com
TEL : 02-6964-6930
스마트한 ESG 파트너 칼렛스토어
지속가능한 포장재 솔루션을 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