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렛스토어
미래의 당연함을 만들다
기사 제목을 클릭하세요.
서울시, 지역 단위 도시개발 '친환경 평가인증' 도입 추진
출처:신아일보
서울시는 미국 그린 빌딩 협회 (USGBC)와 협력하여 지역 단위 도시 개발에 대한 친환경 및 저탄소 평가 및 인증 체계 개발에 합의했다. 오세훈 시장은 USGBC와 협약을 맺었으며, "LEED ND SEOUL"이라는 서울 특성에 맞는 인증 체계를 개발하고 추진할 것이다. 기존 건물 단위의 친환경 인증제도를 지역 단위로 확장하고 서울시에 최적화된 자체 평가인증 체계도 개발할 예정이며, 이는 도시 탄소중립을 증진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인기 물티슈 30개 전격 해부... 친환경 1위 제품은?
출처:베이비뉴스
매년 우리나라에서 약 129만 톤의 물티슈가 사용되지만, 대부분의 일회용 물티슈는 환경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비생분해성 소재와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친환경 물티슈가 나오고 있으며, 유튜브채널 노써치가 30개의 물티슈 제품을 비교 분석했다. 노써치는 베베숲 시그니처 블루 에코 물티슈를 친환경, 두께, 크기, 성분 측면에서 친환경적이고 성능이 우수한 제품으로 추천했다. 소비자를 위한 물티슈 구매 팁으로는 크기와 두께를 고려하여 제품 선택, 가성비를 평량과 무게로 판단, 성분 확인 및 피부 테스트, 사용량에 따라 소량 구매, 환경을 생각해 최소한으로 사용을 고려해야 한다.
"처리 힘든 플라스틱 90% 줄일 수 있다", 국제플라스틱협약 장관회의서 제안
출처:비니지스포스트
그린피스에 따르면, 유엔총회 국제 플라스틱 협약 우호국 연합(HAC) 회원국 중 북유럽 각료회의가 발표한 '2040년까지 플라스틱 오염을 종식하기 위한 15가지 정책조정' 보고서에서 플라스틱 오염을 줄이기 위한 정책 방안 15가지가 소개되었다. 이러한 해결책은 플라스틱 생산과 소비의 감축, 유해한 플라스틱 및 화학물질 제거, 순환성 확대, 폐기물 통제, 미세 플라스틱 사용 방지 등을 포함한다. 보고서는 이러한 정책이 실행되면 2040년까지 적절히 처리되지 않는 플라스틱을 90% 감소시키고, 새로운 플라스틱 생산을 30% 줄일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이 실행되지 않으면 플라스틱 오염은 8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환경적인 한계를 넘기 위해 더 강력한 플라스틱 생산 감축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국제 플라스틱 협약은 플라스틱 생애주기의 모든 단계에 대한 국제 규칙을 제정하는 협약으로, 2024년에 체결될 예정이다.
9월 3주차 해외 ESG 핫클립
출처:임팩트온
EU CBAM, 내달부터 전환 기간…"탄소배출량 정보 보고해야“, 17일 채택된 이행규칙엔?
유럽연합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율 42.5% 늘린다, IRA 맞설 그린딜 강화
일본, 친환경 플라스틱 제품 국가인정 제도 도입
G20, 2030년까지 전 세계 재생에너지 용량 3배 확대 목표
"국가소멸 책임져라"…태평양 섬나라들 선진국 상대 '기후소송’
애플, 캘리포니아주가 제안한 온실가스 배출 보고 지지
자발적 탄소시장 신뢰 떨어져…배출권 거래 줄고 가격 급락
에너지 전환 전략 고수하는 BP 임시 CEO
美 전기차협회, GM에 저가 전기차 출시 청원
기업의 저탄소 전환 돕는 ‘탄소차액계약’
美, 해고 한파 또 불라…씨티 대규모 구조조정, 구글도 감원
"마이크로소프트 이후 최대"…美 구글 '반독점 소송' 시작
대선 앞둔 美 정치권에도 'AI 규제 바람' 분다
EU, 중국산 전기차 저가 공세에 제동 거나…반독점 조사 시작
중국산 쏟아지자 "이러다 파산"…EU 태양광업계에 무슨 일이
EU 공급망 실사 입법 동향…어디까지 왔나
'中 광물 독점 허물자'…美·사우디 희토류 개발에 맞손
세계 최대 리튬 매장지가 미국에?
“美·EU, 中 철강 겨냥해 고율관세 도입 논의”
인도, 사우디와 에너지 협력 강화…'中 일대일로' 견제
MSCI, 새로운 지속가능성 연구소 설립
기업가치 측정도 탄소배출량으로…'기가콘' 찾는 실리콘밸리
스마트한 ESG 파트너 칼렛스토어
지속가능한 포장 솔루션을 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