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_icon
추천 검색어
search_icon
최근 검색어
최근 검색내역이 없습니다.
실시간 검색어
추천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재구매장바구니
    메뉴
    재구매
    마이페이지

      탈플라스틱이란?

       

      플라스틱이 환경 잔류, 미세化 등으로 가장 큰 환경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플라스틱 수요, 폐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팬데믹 이후 포장재, 용기 등의 폐기물 문제가 심각해졌습니다.

      ​□ OECD, ‘22년 ➀ 플라스틱 폐기물 : 3.5억톤(‘19년) → 10.1억톤(’60년)으로 증가 예상,
           ➁ 해양․수계 플라스틱 축적량 : 1.4억톤(‘19년) → 4.9억톤(’60년) 으로 증가 예상

      □ 플라스틱 수요 (‘17년)582만톤 → (’30년)864만톤으로 증가 예상(‘19년, 한국환경연구원)

      폐플라스틱 발생량 (’19년)418만톤 → (‘21년)492만톤(잠정) ; 팬데믹 이전 대비 17.7% 증가

      이에 정부는 22년 10월 전 주기 탈플라스틱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주요 내용 같이 알아볼까요?

       

       

      추진방향 및 목표

      추진방향

      □ 코로나 시대 극복 : 포장재․용기 분야에 역량 집중

      □ 탈플라스틱 기반 구축 : 플라스틱 재생원료, 대체 시장․서비스 확대, 재활용 고도화

       

      목표

      2025년까지 폐플라스틱* 발생 20% 감축(’21년 대비)

      * (폐플라스틱 발생량) ‘21년(492만톤(잠정)) →→ ‘25년(393만톤)

       

      추진 과제

      탈플라스틱 대책은 크게 ▲ 일회용품 감량 ▲ 온전한 재활용 ▲ 재생원료·대체재 산업 및 시장육성 ▲ 국제사회 책무 이행이라는 네 가지 추진 과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일회용품 감량

      대체서비스 확대 지원: 다회용기 제품 및 대여*․세척서비스 인증제 도입, 다회용기․세척기 구매비용 지원
      * (제품) 텀블러, 유아용 식기류 등 / (서비스) 다회용기 대여서비스, 카페서비스(제로웨이스트) 등

      일회용품 감량: 일회용품을 줄이기 위해 넛지형 감축수단* 활용
      * 키오스크 매장, 배달 앱 등에 1회용품 미제공을 기본값으로 설정, 요청시에만 1회용품 제공

      소비자 인센티브 강화: 다회용기 사용 경제적 인센티브 부여, 무포장․다회용기․컵보증금 매장 등 환경친화적 매장정보 제공

      관리 사각지대(과대포장 등) 해소: 택배, 농산물 등 특성에 맞는 포장 관리체계 마련 및 플라스틱 배달용기 두께․재질기준* 마련
      * (두께)최대 두께기준 마련, (재질)PP, PS, PET 등→단일재질 표준화, (색상)반투명 또는 투명

       

      온전한 재활용 : 소각형재활용 → 물질‧화학 원료

      폐자원 공급망의 안정적 관리: 배출부터 수거․운반, 선별까지 양질의 폐자원 공급체계 마련 및 재활용시장 조기경보체계* 구축
      * △생활폐기물 정보관리 시스템 마련, △재활용시장 진단 기준지표 개발 등

      재활용이 쉬운 제품설계: 재활용성 등급 평가항목 확대, 재활용성에 따라 재활용분담금 차등화 및 재활용어려운 제품 공공구매 축소 유도

      고품질 재활용 유도: 소각형재활용에서 물질재활용 또는 열분해 재활용 중심으로 재활용지원금 할당비율(40→60%)과 단가* 상향 조정
      * (現 재활용지원금 단가) 물질․화학적 재활용 173원/kg, 소각형재활용 165원/kg

      재활용 수요 확대: PET병 등 최종제품 생산자에 재생원료 사용의무 신설, EU 등에 통용 가능한 국제표준 기반 재생원료 사용 인증 체계

       

      재생원료․대체재 산업 및 시장 육성

      바이오플라스틱 전환: 바이오매스플라스틱환경표지인증기준량* 지속확대
      *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함량 기준) 20%(現) → 40%(‘22.下) →100%(’50년)

      생분해 활성화 지원: 생분해플라스틱 인증체계를 개편(일반토양, 해양 조건 추가)하고, 집중 활용 분야 및 제품 구체화
      - 별도배출 가능 품목의 수거․처리 인프라 구축 및 해외진출 지원 국제협력 프로그램 마련(ADB, APEC 등)

      규제 유연화: 규제샌드박스 및 순환자원인정 활용으로 규제부담 해소

      산업계 역량강화: 영세 업체의 재질·공정 변경 등 규제 적응 지원, 순환경제 이행 R&D(‘24년~, 예타 중) 및 플라스틱 클러스터 조성

      국제사회 책무 이행 : 플라스틱 협약 대응 + 환경유출 방지

      플라스틱 협약 대응: 국내외 산업․정책 여건을 고려한 대응전략을 마련, 협상 공동체를 구성하고, 제4차 협상위원회* 국내 유치 추진
      *`23년, 제5차 협상위원회 국내 유치 확정(`24년)

      생태계 유출 방지: 해안․농촌 등 취약지역 플라스틱 해양 유입 방지 및 수거․처리 확대(어구․부표 보증금제, 하천하구 유입 차단막)
      ※ OECD, 주요국에 환경 유출 방지를 국제협력 주요 분야로 권고(2022, OECD outlook)

       

      탈플라스틱 글로벌 경향

      2024년 국제 플라스틱 협약 (UN Plastic Treaty), 법적 구속력

      - 2022년, 유엔 회원국들은 2024년까지 플라스틱 오염을 종식시키는 법적 구속력이 있는 협정을 만드는 결의안에 합의
      - 국제법으로 제정되는 세계 최초의 플라스틱 조약
      - 국제 플라스틱 협약 (UN Plastic Treaty) 정부간 협상위원회(INC) 2차 협상은 5월 29일부터 6월 3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
      - 총 5차례의 회의를 거쳐 2024년 말에는 구체적인 플라스틱 감축 협약이 나올 예정
      - 4,5차 회의는 각각 내년 4월과 하반기에 캐나다, 한국에서 개최하기로 결정

       

      플라스틱세 결정(Decision)

      - EU이사회에서 플라스틱 폐기물감축을 위해 플라스틱세를 채택(’20.7)
      - 각 회원국은 연간 자국별 포장재 플라스틱 발생량에서 재활용된 플라스틱을제하고 남은 폐기물에 kg당 0.8 유로를 EU에 납부
      - 부과방식: EU 자체로는 세금 징수가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회원국은연간 재활용되지 않은 폐기물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을 EU에 납입
      - 국가별로 부과시기, 대상 및 방법은 상이

       

      플라스틱 폐기물 수출규제 규정(Regulation)

      - 역내 폐기물처리 책임 강화를 위해 유해 플라스틱 폐기물 수출금지 발표(’20.12)
      - 배경: 플라스틱 폐기물 수출에 따라 역내폐기물을 개도국으로 떠넘기는결과를 초래, EU가 주장하는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과 불합치
      - 중국의 폐기물 수입 금지조치(’18.1)에 따라 EU의 對中 플라스틱폐기물수출량은 감소했으나, 터키, 말레이시아 등 기타 아시아 국가로전환
      - 근본적인 환경오염의 해결을 위해 폐플라스틱 수출금지 통해 역내폐기물처리에 대한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

       

      EU역외로 재활용 불가 또는 유해 플라스틱 폐기물 전면 수출금지(’21.1)

      -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무해한 플라스틱 폐기물은 EU역외로 수출금지 

       

      미국은 주정부 단위로 플라스틱 규제

      - 캘리포니아 주의회가 처음으로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전면 규제하는 법안을 통과
      - 캘리포니아 주는 2032년까지 일회용 플라스틱의 사용을 최소 25% 줄이기로함
      - 2028년까지 캘리포니아에서 판매 및 소비되는 플라스틱 제품의 최소 30%는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플라스틱 오염 완화 기금도 설립할 계획
      - 뉴저지주와 유타, 콜로라도, 아리조나, 플로리다, 뉴욕주 등에서는 2020년부터 플라스틱 빨대 사용 규제를 시행

       

       

       

      *이 포스팅은 ‘22년 10월 환경부가 발표한 ’전주기 탈 플라스틱 대책'에서 주요 내용을 발췌, 인용했습니다.

       

       

       

      칼렛스토어 제품으로 지속가능한 기업 브랜드를 구축하세요.

       

      EL606 택배봉투, 8월 4주 출시 예정

      많이 기대해주세요!

      EL606 택배봉투 포스팅 보러가기

      EL606 손잡이봉투 보러가기

       

      제휴문의 : caretstore@caretbio.com

      TEL : 02-6964-6930

       

      
      스마트한 ESG 파트너 칼렛스토어
      지속가능한 포장재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소재와 포장재'의 다른 글
      포장재 환경표지인증: EL606
      포장재 환경표지인증: EL606

      EL606이란?'22년 개정에 따르면, 환경표지인증 EL606은 합성수지 재질로 만든 다회용 포장재(이하 '포장재')를 대상으로 합니다. ‘23년 8월 출시 예정인 스텝포넷제로 EL606 택배봉투는 합성수지제 폐재 사용률 50% 이상을 충족합니다.   용어 정의▶ 1회...

      2023-08-10
      EL727 바이오매스 자세히 알아보기!
      EL727 바이오매스 자세히 알아보기!

       바이오매스란바이오매스(biomass)는 화학적 에너지로 사용 가능한 생물을 가리키는 단어로 땔나무, 숯, 생물의 기체 등이 포함됩니다.사전적 의미는 식물이나 미생물 등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생물체를 말하며, 포괄적 의미로는 에너지 전용의 작물과 나무, 농산품과 사료...

      2023-08-07
      접착제와 점착제는 어떻게 다를까요?
      접착제와 점착제는 어떻게 다를까요?

      접착제와 점착제의 차이를 아시나요? <국어사전>접착제: 두 물체를 서로 붙이는 데 쓰는 물질점착제: 물질을 달라붙게 하는 작용을 하는 물질국어사전을 기준으로 했을 때 접착(接着)과 점착(粘着)은‘물질을 달라붙게 하는 물질’이라는 의미로 단어 간 큰 차이가 없습니다.​하...

      2023-08-18
      탈플라스틱 대책: 친환경 인증 제품에의 영향
      탈플라스틱 대책: 친환경 인증 제품에의 영향

       플라스틱이 환경 잔류, 미세化 등으로 가장 큰 환경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었습니다.이에 정부는 22년 10월 전 주기 탈플라스틱 대책을 발표했는데요,​이전 포스팅에서 4가지 추진 과제를 알려드렸는데요.4가지 추진 과제 중에서온전한 재활용과 재생원료 및 대체재 육성을제시...

      2023-08-24
      탈플라스틱 대책: 생분해 제품에의 영향
      탈플라스틱 대책: 생분해 제품에의 영향

      플라스틱이 환경 잔류, 미세化 등으로 가장 큰 환경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었습니다.이에 정부는 22년 10월 전 주기 탈플라스틱 대책을 발표했어요,이전 포스팅에서 4가지 추진 과제를 알려드렸는데요.4가지 추진 과제 중재생원료 및 대체재 육성은 [생분해 활성화 지원]에 대...

      2023-08-28

      연관 상품

      SFNZ_badge
      취급주의 리펄프테이프 48mm x 40M (60g) 1BOX 50EA
      24% 210,000원
      159,000
      개당 3,180
      1,590P 적립
      321
      스텝포넷제로 EL606 택배봉투 25X35+4cm [소] 100장
      46% 12,500원
      6,700
      개당 67
      67P 적립
      306
      SFNZ_badge
      스텝포넷제로 EL606 택배봉투 25X35+4cm [소] 1000장
      45% 129,000원
      70,400
      개당 70
      704P 적립
      233
      SFNZ_badge
      친환경 택배봉투 25 x 35 + 4cm [소] 100장
      8% 14,400원
      13,200
      개당 132
      132P 적립
      2300
      SFNZ_badge
      친환경 택배봉투 25 x 35 + 4cm [소] 1000장
      15% 144,000원
      121,000
      개당 121
      1,210P 적립
      1768
      SFNZ_badge
      스텝포넷제로 EL606 택배봉투 45X58+4cm [특대1호] 100장
      22% 35,000원
      27,200
      개당 272
      272P 적립
      325
      SFNZ_badge
      스텝포넷제로 EL606 택배봉투 70X83+4cm [특대3호] 200장
      32% 147,600원
      100,300
      개당 501
      1,003P 적립
      301
      SFNZ_badge
      스텝포넷제로 EL606 택배봉투 45X58+4cm [특대1호] 500장
      32% 187,500원
      127,500
      개당 255
      1,275P 적립
      238
      친환경 택배봉투 32 x 40 + 4cm [중] 500장
      84,900
      개당 169
      849P 적립
      158
      SFNZ_badge
      친환경 택배봉투 45 x 58 + 4cm [특대] 500장
      15% 187,500원
      158,400
      개당 316
      1,584P 적립
      2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