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렛스토어
미래의 당연함을 만들다
기사 제목을 클릭하세요.
“일회용컵 보증금제 ‘플라스틱 저감’ 효과 미미…감축 정책과 병행해야”
출처:조선일보
세종과 제주에서 운영 중인 '일회용컵 보증금제'는 플라스틱 감소에 큰 도움이 되지 않으며, 일회용품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일회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나왔다. 일회용컵 보증금제는 컵 회수와 재활용에 초점을 두고 있어 일회용품 사용량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보증금제는 특정 매장에만 적용되어 배달 음식 등 다른 업종에는 적용되지 않는 등 여러 제약과 문제가 있다. 일회용컵 사용 억제를 위해 일회용컵 사용 금지, 무상 제공 금지, 다회용컵 사용 확대와 같은 다양한 정책이 필요하며 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다.
지속가능한 접착제, '콩'으로 만든다?
출처:뉴스펭귄
미국 퍼듀대학교 연구진이 콩을 활용하여 생물기반 접착제를 개발했다. 기존 화석연료 기반 접착제는 환경 영향과 건강 문제를 일으키므로 대안이 필요했는데, 새로운 생물기반 접착제는 생산 비용이 기존 에폭시보다 30% 낮고, 성능이 우수하며, 지속 가능하다. 실험 결과 이 물질은 나무, 플라스틱, 금속 등에 사용될 때 높은 접착성을 보이며, 산업 및 의료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톱 50개 탄소상쇄 프로젝트 78%가 “무쓸모”
출처:임팩트온
영국 가디언과 비영리단체인 Corporate Accountability와 세계 50대 프로젝트의 분석에 따르면, 대부분의 탄소상쇄 프로젝트가 효과가 없거나 과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50개 프로젝트 중 78%는 실질적인 탄소감축 효과가 없으며, 16%는 기대 수준보다 낮았고, 6%는 탄소배출 감소에 대한 증거가 없었다. 이에 따라 39개 프로젝트는 '쓸모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판매된 탄소배출권 액수는 약 1조 5,430억 원에 달한다. 이러한 프로젝트 중 일부는 산림 보전, 수력발전, 태양광 및 풍력발전과 관련되어 있으며, 자발적 탄소시장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효과가 과장되거나 없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된다.
스마트한 ESG 파트너 칼렛스토어
지속가능한 포장 솔루션을 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