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를 걷다 보면 무수히 많은 현수막들을 마주하는데요.
이러한 현수막들은 게시 기간이 끝나면 폐현수막으로 변해버립니다.
2022년 치러진 지난해 서울시장 재보궐선거에서는 1만 2,700여 개의 현수막이,
2020년 21대 총선에서는 3만여 개의 현수막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됩니다.(선거관리위원회 발표)
이렇게 많은 양의 폐현수막 중 재활용된 것은 불과 25%에 지나지 않았다고 해요.
나머지 75%의 폐현수막은 어떻게 될까요?
현수막 소각의 문제점

대부분 현수막을 소각하는데, 이때 환경에 좋지 않은 성분들이 배출됩니다.
플라스틱 합성섬유인 현수막을 소각하면 다량의 온실가스와 다이옥신 등 발암 물질이 나옵니다.
기후변화행동연구소에 따르면 현수막 1장을 처리할 때 나오는 온실가스 무게를
이산화탄소로 환산하면 6.28㎏co2e이나 된다고 합니다.
현수막 폐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이옥신은 1급 발암 물질로
독성이 청산가리의 1천 배에 달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축적되면 배출이 잘되지 않는다고 해요.
폐현수막을 재활용하게 되면 소각되어 환경오염을 해치는 것을 줄일 수 있는데요.
이런 폐현수막을 재활용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폐현수막의 변신

우선 폐현수막을 깨끗이 표백하여 재사용하는 방법이 있고
폐현수막을 세탁, 소독하여 자른 후
친환경 가방, 모래주머니, 우산, 농사용 천막, 생활용품 등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선거 현수막은 질겨서 천이 울지 않아 재봉하기 수월하다고 해요.
폐현수막 재활용에 나선 지자체
탄소중립과 환경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폐현수막을 활용하는 사업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대안을 찾으려는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자체에서 폐현수막을 이용해 재활용 사업을 하고 있어요.
현수막을 쓰레기 마대로 활용하는 예천군
경북 예천군에서는 폐현수막을 재활용한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주목받고 있어요. 예천에서 발생하는 폐현수막 약 3천 장은 쓰레기로 분류되어 소각장에 버려지는데, 최근 이 폐현수막을 수거용 마대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폐현수막 3천장으로 마대 8천장을 제작할 수 있으며, 이로써 500만 원 정도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폐현수막 처리 비용의 절감과 환경보호 등의 다양한 효과가 기대돼요.
생분해 소재 현수막 사용하는 김해시
김해시가 친환경 소재로만 제작된 생분해 가능한 홍보 현수막을 사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매월 약 160개의 현수막이 소각되던 것을 줄이고,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홍보 현수막은 휴비스사에서 제작한 친환경 소재인 에크엔으로만 사용될 예정입니다. 친환경 소재 현수막은 가격은 높지만 환경적 이점이 크죠. 제작 업체는 친환경 소재 사용 인증서를 제출해야 하며, 현수막에는 인증마크와 문구가 표시된다고 합니다.
현수막 재활용 교육을 하는 전주시
전북 전주시의 폐현수막 새활용(업사이클링) 사업은 폐현수막을 활용하여, 친환경 가방(에코백)·휴대용 컵 가방(텀블러백) 만들기 등 생활용품을 만드는 교육을 진행합니다. 만들어진 생활용품들을 재래시장 등에 배부됩니다. 특히 독거노인 등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마대, 장바구니 제작 교육을 실시합니다. 이때 취약 계층들은 교류의 장을 형성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어서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요.
현수막 수거함 설치하는 성남시
성남시는 50개 동 행정복지센터에 폐현수막 수거함을 설치하여 폐현수막 원단의 재활용률을 높이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연간 3000~6000여 장의 폐현수막이 소각되지 않고 재활용 마대로 재탄생될 수 있습니다. 성남시는 불법 현수막과 지정 게시대 현수막 뿐만 아니라 각 동에서 배출되는 현수막까지 재활용하기 위한 체계를 구축하게 되었습니다.
현수막 우산으로 재활용하는 부산시
부산 북구는 폐현수막 600여 장을 재활용하여 516개의 우산과 30개의 파라솔을 만들어 환경오염 감소와 탄소중립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제작된 제품은 지역 행사와 구청에서 활용될 예정이며, 북구는 또한 지속해서 탄소중립을 위한 활용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출처:경남매일, 매일신문사, 뉴스핌, 파이낸셜뉴스, 부산일보)
이렇게 폐현수막을 재활용하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폐현수막을 재활용하면 일자리 창출이 되는 효과도 있지만,
무엇보다 환경을 지킬 수 있습니다.
칼렛스토어와 스텝포넷제로는 지속가능한 포장을 위한
3R 가이드(Reduce, Reuse, Recycle)를 제시하여 기업의 지속가능성 문제를 해결해드립니다.
환경표지인증 소재를 사용한 제품 또는 환경표지인증 제품을 채택하여 환경 영향을 줄여주세요.
제휴문의
TEL : 02-6964-6930
스마트한 ESG 파트너 칼렛스토어
지속가능한 포장 솔루션을 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