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렛스토어, 미래의 당연함을 만들다
일회용품 규제완화 혼쭐 환경부…택배포장 규제 갈등 사전관리
출처: 연합뉴스
내년 4월 30일부터 시행 예정인 택배 과대포장 규제에 대비하여 환경부가 업계와 정책 포럼을 구성하여 갈등 관리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새로운 규제는 일회용 택배 과대포장을 규제하는데, 소비자에게 보내는 택배의 포장공간비율이 50% 이하, 포장 횟수는 1차례 이내여야 한다. 규제 적용 대상에는 가공식품, 음료, 주류,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의약외품, 의류, 전자제품 등이 포함되며, 가로, 세로, 높이 합이 50㎝ 이하인 포장은 예외로 적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갈등을 예방하기 위해 용역을 발주하여 규제 수용성을 높이고자 하고 있다.
2024년 7대 기술 트렌드 전망… AI 활용 고도화, 탄소감축 등 주목
출처: SKT뉴스룸
2023년 AI 기술의 발전과 기후 위기에 대한 우려가 동시에 나타났고, 2024년에는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주목할만한 트렌드가 나타날 전망이다. 이 중에서는 생성형 AI의 발전, 신소재 개발을 위한 AI의 활용, 멀티모달 AI 서비스,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 감축 기술, 뇌-컴퓨터 연결 기술(뉴럴링크), 양자 기술의 발전이 주요 트렌드로 부각되고 있으며, 동시에 AI의 윤리적인 측면과 기술 권력의 균형 유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2024년 국내 ESG 정책 변화 ①】환경 및 기상 데이터 공급 활성화
출처: 임팩트온
기후변화 상황지도 시범서비스: 기상청은 기후변화 상황지도 서비스를 확대하여 기후변화 추세와 미래전망을 지도 기반으로 제공하며, 분석 기능을 강화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인공지능(AI) 홍수예보체계 도입: 환경부는 홍수 대응 강화를 위해 AI모형의 홍수예측과 물리모형 검증체계를 도입하여 홍수 특보 지점을 확대하고, 특보 발령 및 전달 체계를 자동화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예보를 가능하게 할 예정이다.
수질오염물질 측정자료 공개 확대: 물환경보전법 개정으로 인해 폐수배출량이 많은 사업장의 측정자료 공개 빈도가 대폭 증가하며, 정보 공개의 범위가 확대되고 측정 기준이 일부 완화되었다.
환경정보공개제도 개편: 환경정보공개제도가 국제적인 ESG 공시 기준 도입에 맞춰 개편되어 유형 분류와 공개 단위가 단순화되고, 공개 항목과 시기가 변경되며, 기업의 환경 정보 공개가 의무화되고 기업 지원을 위한 정책이 시행될 예정이다.
모든 포장재를 한 곳에서!
스마트 패키징 솔루션 플랫폼, 칼렛스토어